무나물 쓴맛 잡는법 맛있게 만들기

부드럽기에 치아 좋지 않은 분들도 편히 드실 수 있는 무나물 이소시아네이트 함유되어 발암 물질 제거 효능 보실 수 있어 건강 음식 추천 드립니다. 해독 작용 혈전 예방, 간암, 폐암, 대장암 예방 식품 무나물 비빔밥 재료도 훌륭하기에 어릴 때부터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.

무나물 쓴맛 잡는법


간단히 반찬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무나물 감자 채 만드실 때처럼 싱싱한 무 얇게 썰어주시기 바랍니다. 1인 가구일 경우 400g 약 1/3개 정도만 만드셔도 3~4일 동안 드실 수 있습니다. 너무 많이 만들 경우 금방 상할 수 있어 400~600g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.

무나물 쓴맛 잡기 위해 무 400g 기준 소금 및 생강즙 1/4 숟가락 밥 수저 기준으로 넣어주시면 쓴맛 제거할 수 있지만, 생강즙 없을 때 그냥 들깨 가루만 넣으셔도 큰 무리 없이 드실 수 있습니다. 프라이팬 등심 스테이크 맛있게 굽기도 확인 부탁 드립니다.

무나물 재료 싱싱한 무 고르기


무나물 재료 조선무 1/3개(약 400g), 다진 대파나 양파 조금, 물 컵 기준 멸치 육수 2/3컵, 통깨나 깨소금 1숟가락, 참기름 1.5숟가락, 소금 1/3 숟가락, 생강즙 1/4숟가락만 준비하시면 무나물 만드실 수 있습니다. 다진 생강으로 대체하셔도 됩니다.

길쭉한 왜무 둥글고 짧은 조선무 상관없이 들었을 때 크기보다 가벼운 느낌 날 경우 싱싱한 무 아니니 묵직한 녀석으로 고르시면 됩니다. 손으로 쳤을 때 퉁퉁 소리 나면 바람 들었을 가능성 높아 묵직하더라도 다른 무 구매하셔야 합니다.

잔털 적고 사과처럼 동그란 모양 조선무 더 맛있기에 추천 드리며, 껍질 하얀 부분보다 초록색 부분 더 단맛 높아 무나물 만드실 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. 하얀 부분으로 만드셔도 되나 하얀 부분 국 끓일 때 사용하시고, 산양유 단백질 맛있게 먹는 법 활용 부탁 드립니다.

무나물 맛있게 만들기


무나물 만드실 때 슬라이스도 얇게 하셔야 맛있게 얇은 채 썰기 가능하니 주의하시고, 슬라이스 한 무 가늘고 길게 채 썰어 주시기 바랍니다. 참기름 1.5숟가락 두른 냄비에 무채 넣어 무 익지 않도록 살짝 볶아주시면 됩니다.

살짝 볶은 후 멸치 육수 2/3컵 넣고 냄비 뚜껑 닫아 약불 약 10분 끓이시기 바랍니다. 중간에 무 1~2회 뒤집어 주셔도 좋지만, 그냥 두어도 상관없습니다. 10분 끓인 후 뚜껑 열어 무 투명하게 변했다면 제대로 된 것이고 투명하지 않다면 조금 더 끓이시면 됩니다.

무나물 국물 자작해야 하기에 육수 부족 시 조금 더 넣어 주시고, 소금 1/3 숟가락, 생강 즙이나 다진 생강 1/4숟가락 넣어 주시기 바랍니다. 소금이나 생강 조절하셔도 되고, 생강 냄새 적게 넣기에 날아가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

살짝-자작한-국물-완성된-무나물

생강 즙까지 넣었으면 살짝 뒤집어 용기 담아 깨소금이나 통깨 가루 1숟가락, 다진 대파나 양파 조금 뿌려주시면 완성된 무나물 보실 수 있습니다. 다진 마늘 넣으셔도 되나 쓴맛 날 수 있으니 참고하시고, 떡볶이 두루치기 간단히 만들기로 멋진 저녁 만드시기 바랍니다.